센터소개

설립목표

"지능적 자원관리와 효율성과 탄력성이 제고된 영지식 센싱, 암호인증, 클라우드 서비스 융합 기술 개발 및 석·박사급 고급인력 양성"

무한한 가능성을 현실화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생체 및 디바이스 인증 방식은 정보 탈취의 취약성을 드러내고 있으며, 생체정보 유출을 방지할 보안방법 또한 매우 부족한 상황입니다. 컴퓨팅 파워를 보유한 네트워크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데이터 스토리지 공간 확보를 통해 실증 대상인 데이터 축적과 인공지능 학습활용이 가능하지만 과연 어떻게 인공지능, 클라우드, 데이터 기술과 합의 프로토콜을 융합하여 투명성, 신뢰성, 경량성, 확장성, 가용성 등이 지속적으로 제고되고 수요에 따라 탄력적인 운용이 가능한 네트워크를 설계하고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학문적 연구 성과는 전무합니다. 어떻게 탈중앙성을 확보하고 모두의 참여를 독려하며 프로토콜 설정 합의에 따른 포용성과 투명성을 보장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은 물론 SCI급 논문 성과도 전 세계적으로 매우 미흡한 수준이며 석박사급 인력양성 노력 또한 부족한 현실입니다.

블록체인 지능 융합센터는 이러한 문제점을 아래와 같이 세 가지 방향에서 연구개발의 필요성을 도출하였습니다.

  • ① 영지식 증명을 활용한 새로운 생체인증 방식 및 탈중앙화된 인증방식 개발의 필요성
  • ② 클라우드-네이티브한 데이터 레이크, 신뢰 가능한 네트워크 관리 기술 개발의 필요성
  • ③ 블록체인과 물리계층 기술을 결합한 지능형 IoT 기기 보안관리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

이에 본 센터는

  • - 화자인식, 초분광기를 활용한 생체인식, 물리계층 지식을 활용한 복제 불가능 함수 인식 등 다수의 방식 (multi-modal)으로 인증의 신뢰성과 보안성을 제고하고,
  • - 지리적으로 분산된 여러 데이터 폰드, 레이크, 클라우드 등에 보관되어 있는 데이터가 어느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이동할 때, 데이터의 진위성이 깨지지 않도록 에지 컴퓨팅 기발 블록체인 서비스 인프라 기술로 보호하며,
  • - 클라우드에 축적된 신뢰성 있는 디지털 데이터로 연합학습, 강화학습, 이전학습 등을 적용하여 모델성능을 제고하고, 서비스 요구사항 분석 및 탄력적 클라우드 리소스 배치 및 관리, 끊김없는 고신뢰 서비스 제공을 위한 주요 지능형 성능 지표를 주기적으로 개선하며,
  • - DID를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고 안전하게 인증하며 주요자원에 접근을 허가해주는 기술의 개발과 한정된 자원을 가진 IoT 기기를 위한 간결하고 안전한 인증 프로토콜의 개발을 통해,

"지능적 자원관리와 효율성과 탄력성이 제고된 블록체인 지능 융합 플랫폼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